PostgreSQL을 설치해 보도록 하자.
(참고로 PostgreSQL의 발음은 '포스트그레스큐엘' 이다. 이하 PGsql 혹은 PG라고 표기할 수 있다.)
먼저 홈페이지에서 원하는 버젼의 DB설치파일을 다운받는다
PostgreSQL 설치파일 다운로드
www.postgresql.org/download/
PostgreSQL: Downloads
Downloads PostgreSQL Core Distribution The core of the PostgreSQL object-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is available in several source and binary formats. Binary packages Pre-built binary packages are available for a number of different operating sy
www.postgresql.org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nRxZN/btqEPVztTp5/uBKGdPy2aBGgd0tWMDLfXK/img.png)
우리는 윈도우용 PGsql을 설치 할 예정이므로 윈도우를 선택한다.
다른 OS가 필요하다면 해당하는 OS를 선택하면 된다.
설치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.
1. 인스톨러를 통해 설치하는 방법
2. zip archive를 다운로드하여 명령어로 수동 설치하는 방법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GVHhP/btqEPUN5nkX/1PffAv0Cp9gJn3Nl61iqP0/img.png)
오늘 다루어볼 설치방법은 Zip Archive이다.
테스트를 목적으로 하거나 메인서버를 구축하는 환경이라면 인스톨러도 무방하나, DB설치 까지 포함된 솔루션을 제작한다면 명령어로 설치하는 방법을 익히는것이 유리하다.
1. 인스톨러를 통한 설치 (설명은 생략 )
인스톨러를 통한 설치가 필요한 경우라면 "Download the Installer"를 선택한 후 본인의 환경에 맞는 설치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하면 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h7Khz/btqEQXXDTq7/uwcWqen0otwq4Mu3fI5wFk/img.png)
2. Binaries 설치
원하는 버젼의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한다.
이 포스팅에서는 12.3 Win 64Bit로 진행하도록 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uAwn/btqEQtCvnZT/StBwS0smJ4S5kJfiC020H0/img.png)
압축파일이 다운로드 되면 압축을 풀어준다.
압축폴더 내에 "pgsql"폴더가 있을것이다.
DB구동 파일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원하는 위치로 옮긴다.
필자는 D:\pgsql 위치에 놓도록 하겠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mEP18/btqEQuuEcHY/2rq9QR1dvNuVoZPfJA7kj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SeItN/btqEPtXvSuj/7tO4PGCC8hHvtcKxdFlDe1/img.png)
커맨드 창을 열어 pgsql/bin 폴더로 이동한 후 아래의 명령어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동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D8NXG/btqEP2SHA2p/wcBizhQwigC1XRkzQTtNrk/img.png)
1) 최고 권한 계정을 생성한다.
현재 사용자 권한을 사용해도 되지만, 접속 계정과 마스터 계정을 분리하는 것이 보안에 유리하므로 최고권한계정을 생성하는것을 권장한다.
net user postgres password /add
ID : postgres PW : password
위와같은 계정이 생성된다. 원하는 계정을 만들자.
2) 데이터베이스를 초기화한다.
d:\pgsql\bin\initdb.exe -D d:\pgsql\data -E unicode --no-locale -U postgres
-D d:\pgsql\data : 데이터가 생성되는 경로를 지정. 이때 data폴더는 자동으로 만들어지며 이미 같은 이름의 폴더가 존재하는 경우 초기화가 실패하니 유의하자.
-U postgres : 위에서 생성한 계정 입력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xbRf3/btqEP4pp8XS/7Y9idAUzUYeOi3K8D712p1/img.png)
3) 서비스를 생성한다.
d:\pgsql\bin\pg_ctl.exe register -N PgSql -D d:\pgsql\data
PostgreSQL 은 윈도우 서비스 형태로 구동된다.
-N PgSql : 서비스명을 PgSql로 지정
-D d:\pgsql\data : 위에서 초기화한 데이터베이스 경로를 지정한다.
4) 서비스를 시작한다.
net start PgSql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kMfz/btqEP347I25/hColmrGakzVrPA7q4ueXK0/img.png)
5) 서비스가 잘 생성되었는지 확인한다.
5-1) 지정한 위치의 폴더 (data)가 생성되었는지 확인한다.
initDB.exe 가 잘 실행되었다면 지정한 데이터 폴더가 생성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lg561/btqEQuuFkgT/scL3H8NQQKCW1KXFgC2rpK/img.png)
5-2) 서비스가 실행중인지 확인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Rz85T/btqEQtvIyrE/VZpLhRkd7hOpYFjpXglnI0/img.png)
PgSql (위에서 입력한 서비스명)이 실행중 상태이면 정상이다.
6) 환경설정
data 폴더를 열어보면 10여개의 폴더와 conf 파일을 볼 수 있다.
이 폴더가 데이터베이스 저장소이며 conf 파일이 환경설정 파일들이다.
데이터를 이전할 때 백업을 통한방법으로 이전할 수도 있겠지만, PgSql 서비스를 중지하고 data폴더 자체를 이동하는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. 위와같은 방법으로 이전하면, 데이터와 설정되어있던 환경까지 한번에 옮기는 것이 가능하다.
.conf 파일을 수정하여 환경설정한다. conf파일에 대한 내용은 또 상당히 길어지므로 이 포스팅에서는 각각의 역할만을 설명하고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도록 하겠다.
pg_hba.conf | ip대역별 접근권한을 설정한다. (Host Base Authentication) |
pg_ident.conf | 사용자 계정별 접근권한을 설정한다. (pg_hba.conf method설정에 따라) |
postgresql.conf | 다음 포스팅에서 상세히 다뤄보기로 한다. 기본포트는 5432 |
'PostgreSQ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ostgreSQL] 자료형 (데이터타입) - 기본 (0) | 2020.06.20 |
---|---|
PostgreSQL 쿼리브라우저 [ pgAdmin3 / pgAdmin4 / EMS Sql Manager / DBeaver ] (0) | 2020.06.19 |
PostgreSQL postgresql.conf 파일 설정하기 (0) | 2020.06.17 |
PostgreSQL pg_hba.conf 설정하기 (0) | 2020.06.15 |
PostgreSQL을 선택한 이유 (3) | 2020.06.13 |
댓글